국선도 기혈순환유통법에 나오는 경혈정리
페이지 정보
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17-09-18 15:37 조회5,446회 댓글0건본문
1. 용천(湧泉)
발바닥 움푹 들어간 곳에 위치합니다. 이 穴은 족소음신경(足少陰經)이 시작하는 경혈입니다. 腎은 水에 속하니 穴이 마치 샘물[泉]이 처음 나오는 것 같아서 냇물이 솟아나[湧] 아래로 흐르는 것 처럼되므로 湧泉이라 합니다.
2. 삼음교(三陰交)
족태음비경(足太陰脾經), 족궐음간경(足厥陰肝經), 족소음신경(足少陰腎經)이 동시에 만나는 경혈입니다.
위치는 안쪽 복숭아뼈에서 위로 3寸되며, 만져지는 뼈(脛骨) 뒤에 위치합니다.
3. 견정(肩井)
오목하게 들어간 곳이 깊은 곳을 우물(井)이라 합니다. 이 경혈은 어깨(肩) 위쪽의 오목한 곳이라 하여 견정이라 이름합니다. 大椎와 肩峰(어깨 끝 볼록한 곳)을 이은 선의 중점입니다.
참고, 대추혈: 고개를 숙였을 때 독맥상에서 어깨와 목이 만나는 지점에 가장 볼록하게 튀어나온 뼈가 7경추입니다. 이것 바로 아래가 대추혈입니다.
4. 아문(瘂門)
이 경혈은 후발제(後髮際, 후두부 독맥선상에서 머리카락이 난 경계)의 움푹 들어간 곳인데 頭項의 정중앙 후발제(後髮際) 위로 5分 되는 곳으로, 설근(舌根)과도 연계되어 있어서 이 곳에 침을 놓으면 발음을 순조롭게 하고, 벙어리병을 치료하는 문(門戶)이 되므로 아문(瘂門)이라 이름하였습니다.
5. 천주(天柱)
아문혈 양쪽의 1.5寸 되는 곳에 위치합니다.
발바닥 움푹 들어간 곳에 위치합니다. 이 穴은 족소음신경(足少陰經)이 시작하는 경혈입니다. 腎은 水에 속하니 穴이 마치 샘물[泉]이 처음 나오는 것 같아서 냇물이 솟아나[湧] 아래로 흐르는 것 처럼되므로 湧泉이라 합니다.
2. 삼음교(三陰交)
족태음비경(足太陰脾經), 족궐음간경(足厥陰肝經), 족소음신경(足少陰腎經)이 동시에 만나는 경혈입니다.
위치는 안쪽 복숭아뼈에서 위로 3寸되며, 만져지는 뼈(脛骨) 뒤에 위치합니다.
3. 견정(肩井)
오목하게 들어간 곳이 깊은 곳을 우물(井)이라 합니다. 이 경혈은 어깨(肩) 위쪽의 오목한 곳이라 하여 견정이라 이름합니다. 大椎와 肩峰(어깨 끝 볼록한 곳)을 이은 선의 중점입니다.
참고, 대추혈: 고개를 숙였을 때 독맥상에서 어깨와 목이 만나는 지점에 가장 볼록하게 튀어나온 뼈가 7경추입니다. 이것 바로 아래가 대추혈입니다.
4. 아문(瘂門)
이 경혈은 후발제(後髮際, 후두부 독맥선상에서 머리카락이 난 경계)의 움푹 들어간 곳인데 頭項의 정중앙 후발제(後髮際) 위로 5分 되는 곳으로, 설근(舌根)과도 연계되어 있어서 이 곳에 침을 놓으면 발음을 순조롭게 하고, 벙어리병을 치료하는 문(門戶)이 되므로 아문(瘂門)이라 이름하였습니다.
5. 천주(天柱)
아문혈 양쪽의 1.5寸 되는 곳에 위치합니다.
목록
전체 52건
3 페이지